[언론보도] 기술 하나로 창업 法 리스크에 끙끙 법률 해결사가 뜬다 - 조원희 대표변호사 지난해 생성형 인공지능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의 스타트업을 창업한 A씨는 법률 조언을 받기 위해 스타트업 전문 로펌을 찾았다. 초기 투자 계약부터 직원 스톡옵션 계약은 물론 개인정보 보호 규정 등 경영에 필요한 법률 이슈를 상담받기 위해서다. A씨는 "과거에는 법적 이슈가 발생했을 때 알음알음 알아가거나 해결했다면 최근에는 스타트업을 위한 전문 로펌을 찾아 시작 단계부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스타트업도 많아지고 벤처캐피털리스트(VC) 생태계가 구축되면서 과거와 비교했을 때 환경이 많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중략) 디캠프는 '비즈니스 데스크'를 통해 디캠프 입주 스타트업이 겪는 노무, 재무, 지식재산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중소·벤처 전문 M&A 센터를 운영하는 브릿지코드는 물론 법무법인 DLG 등이 참여하고 있다. 박상민 브릿지코드 대표는 "M&A 자문은 벤처기업 입장에서 접하기 어려운 만큼 이 부분에서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조원희 법무법인 DLG 대표변호사는 "우리 경제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산업 혁신이 필요한데, 그 시작이 바로 스타트업"이라며 "유니콘으로 성장하는 기업이 많아지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략) #법무법인 #디엘지 #법무법인디엘지 #DLG #LLM #대규모언어모델 #스타트업전문로펌 #변호사 #디캠프 #조원희 #조원희변호사 #스타트업 #스타트업로펌 #스타트업법률 https://lnkd.in/gYhV6NeW
소개
Professional 법무법인 디엘지(구 법무법인 디라이트)는 고객이 있는 어디에서든 최상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치열하게 전문성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Innovation 법무법인 디엘지는 고객을 향한 더 높은 퀄리티를 위해 신속하고 편안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법률 서비스의 혁신을 만들며 고객과 함께 성장해 갑니다. Value Creation 법무법인 디엘지는 공익사업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고객과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 웹사이트
-
https://dlglaw.co.kr
법무법인 디엘지(구 법무법인 디라이트) 외부 링크
- 업계
- 법률 서비스
- 회사 규모
- 직원 51-200명
- 본사
- Seoul
- 유형
- 비상장기업
- 전문 분야
- ICT, ICO, Startup, VC, Entertainment, Pharmaceutical, IN-HOUSE counsel, Biotechnology 및 Blockchain
위치
법무법인 디엘지(구 법무법인 디라이트) 직원
-
Jay Shin
Partner/Head of Vancouver Practice, DLG Law Corp
-
Ahn Tammy (Tae-Hyon)
Tech for Good | AI & Crypto Advocate | Startup Accelerator | Investor | Educator | Wharton MBA
-
Youn Soo "Deborah" Lee J.D.
Sr. Attorney/ Head of US Offices
-
Won H. Cho
A Founding Member and Managing Partner at DLG Law Corporation(Previously D'Light Law Group)
업데이트
-
[기고] [안희철의 M&A 나침반] M&A 거래 시 법률실사의 주요 쟁점 및 전략 - 안희철 대표변호사 인수합병(M&A) 거래의 경우 단순한 주식이나 자산의 매매 또는 양수도를 넘어 인수 대상기업 및 대상기업의 사업과 관련한 권리·의무, 법적 리스크 등에 대한 양수도까지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M&A 거래의 성격 때문에 거래 당사자들은 인수 대상기업이 가지고 있는 법률적 문제를 사전에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법률실사(Legal Due Diligence)를 적절하게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략) 그러므로 법률실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대상기업 자료에 대한 검토나 체크리스트 확인에 그치지 않고 법률실사의 목적과 거래의 실질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법률실사의 진정한 가치는 '법률적 문제에 대한 발견'이 아니라 '법률적 문제에 대한 판단과 거래에 있어서 조건 반영'에 있다. 법률실사를 통해서 발견된 대상기업의 정보를 어떻게 해석·판단하고 이를 M&A 거래에 활용하느냐에 따라 법률실사는 성공적인 M&A의 밑그림이 될 수도 있고 실패한 M&A의 전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법무법인디엘지 #디엘지 #법무법인 #로펌 #변호사 #안희철 #인수합병 #양수도 #법률실사 #매도인 #매수인 #인수합병법률실사 #비밀유지계약 #인수합병법적리스크
-
[기고] 트럼프 관세 정책과 AI·웹3 시장 영향 [윤석빈의 Thinking] - 윤석빈 고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글로벌 경제의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한국에 25%, 중국에 36%, 대만에 32%에 이르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디지털 경제의 핵심인 인공지능(AI)과 웹3(Web3) 시장에도 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 정책이 가져올 변화는 단기적 충격을 넘어 글로벌 기술 패권의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중략) 결국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가져올 변화는 단순한 경제적 충격을 넘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실크로드를 형성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이 변화의 물결 속에서 승자가 될 것인가, 패자가 될 것인가는 각 국가와 기업이 얼마나 창의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는가에 달려 있다. 위기는 언제나 기회와 함께 온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던진 도전을 AI와 웹3 혁신의 새로운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지혜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대한민국도 새로운 거버넌스 안에서 통합적으로 지혜를 모아야 한다. #법무법인디엘지 #디엘지 #법무법인 #로펌 #변호사 #윤석빈 #트럼프관세 #트럼프관세정책 #인공지능 #웹3 #도널드트럼프 #경제독립선언 #AI산업 #미국관세
-
[언론보도] 대한민국 경제·기술 전문가, APEC ‘장애인고용 아젠다’ 논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은 다음달 제주에서 열리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용노동부장관회의(이하 SOM 2)를 앞두고, 공식 부대행사로 개최되는 국제장애고용포럼(이하 포럼)의 성공적 진행을 위해 4일 법무법인 디엘지 회의실에서 사전 워크숍을 가졌다. (중략) 한편, 2025 국제장애고용포럼은 다음달 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백록홀에서 개최된다. 행사 참여 사전등록은 사전등록 누리집(https://lnkd.in/g9c7pjhM 가능하다. #법무법인디엘지 #디엘지 #법무법인 #로펌 #변호사 #장애인고용 #장애인고용아젠다 #APEC #국제장애고용포럼 #국제장애고용포럼워크숍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5년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한국노동연구원
-
[기고] [스타트업 법률 가이드] 직원이 만들었다고 다 회사 것일까? - 스타트업이 알아야 할 업무상 저작물의 조건 - 장현지 변호사 회사를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들이 생산된다. 꼭 콘텐츠 사업과 관련한 결과물이 아니더라도, 기획서, 코드, 디자인 시안, 보고서, 사내 교육자료까지 모두 저작물에 해당할 수 있다. (중략) 따라서 법률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사전에 서면 계약을 통해 권리 귀속에 관한 부분을 명확히 하고, 내부 규정도 체계적으로 정비해둘 필요가 있다. 회사의 창작물 관리 역시 스타트업의 중요한 리스크 관리 영역에 해당하므로, 업무상 저작물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법무법인디엘지 #디엘지 #법무법인 #로펌 #변호사 #장현지변호사 #스타트업 #창작물콘텐츠 #저작물 #창작물저작권 #업무상저작물 #공동저작물 #저작물조건
-
[언론보도] "윤석열 탄핵 될까?"···'레이디건희' 폴리마켓 베팅으로 16억 벌었다 - 김동환 파트너 변호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이 오는 4일로 결정된 가운데 관련 베팅으로 16억 원을 벌어들인 사례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10일 블록체인 기반 베팅 플랫폼 ‘폴리마켓’에서 미국 동부표준시(ET) 기준 3월 31일까지 진행된 윤 대통령의 4월 이전 탄핵 예측 베팅이 마감됐다. 폴리마켓의 탄핵 예측 베팅은 4월이 되기 전 윤 대통령이 탄핵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배당금을 제시하도록 했다. (중략) 김동환 디엘지 변호사는 “폴리마켓 국내 이용은 도박죄에 걸려 불법”이라면서 “기초자산이 없는 정치, 스포츠 관련 베팅이 이뤄지고 있어 파생상품의 성격을 가졌다고도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만약 이용자로 적발된다면 도박죄로 형법상 처벌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김 변호사는 폴리마켓에서 얻은 수익도 추징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국민체육진흥법상 불법 도박 수익 발생 시 그 이익의 환전 등에 대해서도 몰수 및 추징의 대상이 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후략) #법무법인 #디엘지 #로펌 #변호사 #김동환변호사 #블록체인 #베팅플랫폼 #폴리마켓 #탄핵베팅 #레이디건희 #도박죄 #베팅플랫폼 #불법도박사이트
-
[언론보도] 성소수자 축복한 목사 출교 처분, 부당하다 - 강송욱 변호사 2019년 인천퀴어문화축제에서 이동환 목사를 비롯한 목회자 3명은 '함께 하는 축복식'이라는 이름으로 성소수자를 축복했습니다. 달리 특이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이동환 목사가 읽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략) 가처분 심문기일 당일에는 남재영 목사 본인, 그리고 대리인단 전부(법무법인 덕수 신하나 변호사, 신세영 변호사, 법무법인 디엘지 강송욱 변호사, 법무법인 선한 허자인 변호사)가 출석하였습니다. (후략) #법무법인 #디엘지 #로펌 #변호사 #성소수자 #인천퀴어문화축제 #이동환목사 #함께하는축복식 #감리교 #남재영목사 #퀴어문화축제 #동성애 #빈들공동체교회
-
[언론보도] 법무법인 디엘지, 'AI센터' 개소…AI·법률 전문 자문 제공 - 이수화 센터장 법무법인 디엘지가 인공지능(AI)과 법률 분야의 전문적 자문을 제공할 ‘AI센터’를 공식 출범했다. 디엘지 AI센터는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법적 이슈들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리걸테크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략) 이수화 디엘지 AI센터장은 “AI 기술이 법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기업들이 혁신을 추구하면서도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센터의 목표”라며 “법률 전문가들의 역량 강화와 법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법무법인 #디엘지 #로럼 #이수화 #AI센터 #인공지능 #법률인지 #윤리 #인간 #리걸테크 https://lnkd.in/g-xn6-99
-
[디토크 시즌2] 1탄 코인 투자로 인생역전? vs 인생폭망?! 복잡한 법률과 비즈니스 이슈를 간결하게 풀어주는 디토크가 시즌2로 찾아왔습니다. "성인 4명 중 1명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데, 정말 무지성으로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디엘지의 박신애 변호사와 최정윤 변호사가 진행하는 [디토크 시즌2]에서 코인 투자의 진실과 허상을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블록체인 전문가 김동환 변호사 VS 코인 알못 표경민 변호사의 불꽃 튀는 토론! 부자가 되겠다는 열망으로 만수르 특별 의상까지 준비한 표 변호사의 솔직 발언부터, 비트코인이 1억 5천만원까지 치솟은 이유까지! 게다가 코인 이름이 예뻐서 산다는 무지성 투자자들, 트럼프 밈코인으로 7만% 수익을 올린 놀라운 사례, 그리고 워렌 버핏마저 오물이라 부르던 코인에 투자하게 된 반전까지! 디엘지 변호사들이 코인 시장의 현실을 명쾌하게 짚어드립니다. 10년 후 비트코인은 금이 될까, 휴지조각이 될까? 누구나 한번쯤 궁금했던 가상자산 투자의 모든 것을 함께 알아보세요!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하시고 토론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는 디토크 시즌2와 함께하세요! https://lnkd.in/g5fuZeYk #법무법인 #로펌 #변호사 #디엘지 #코인투자 #박신애 #김동환 #최정윤 #표경민 #비트코인 #이더리움 #블록체인 #가상자산 #디토크 #무지성투자 #트럼프코인 #밈코인 #부자되기 #투자팁 #워렌버핏 #법률토크쇼
-
[기고] AI MCP 생태계의 현황과 미래 방향 [윤석빈의 Thinking] - 윤석빈 고문 인공지능(AI) 산업은 이제 단순히 ‘대답하는 AI’에서 ‘행동하는 AI’로 전환 중이다. 이 변화의 핵심에 바로 최근에 대두되는 MCP(Model Context Protocol)가 있다. MCP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중략) 이제 기업과 개발자, 정책 입안자 모두가 단순한 AI 모델 경쟁을 넘어, 문맥을 설계하고 연결을 정교화하는 프로토콜 전쟁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MCP는 AI 산업의 다음 인프라 혁신을 이끌, 조용하지만 거대한 변화의 시작이다. 비즈니스, 사회적 가치를 주는 AI. 웹3가 되길 기대한다. #법무법인 #로펌 #디엘지 #윤석빈 #AI #AIMCP #MCP #앤트로픽 #데이터베이스 #API #클로드 #GPT #RAG